| 
| 1. 재배작형의 선택 | 
 | 
| ○ 주요 작형별 특성 | 
| 작형 | 아주심는 시기 | 수확 기간 | 재배 포인트 |  
| 초촉성 | 9월 상순 | 11~4월 | 조생종 이용, 꽃눈분화 촉진, 조기육묘 및 정식, 무휴면재배 |  
| 촉성 | 9월 중하순 | 1~4월 | 무휴면재배, 정화방 분화후 정식 |  
| 반촉성 | 9하~10상 | 2~4월 | 휴면타파후 보온개시 |  
| 노지 | 10중 | 5~6월 | 만생종 이용, 겨울철 관수관리로 건조피해 예방 |  
| 여름 | 5월 | 7~11월 | 사계성 품종 이용, 고랭지재배,  고온기(7하~8중) 초세관리 |  
 
 | 
 | 
| 2. 아주심기 | 
| 1) 재배포 만들기 | 
| ○ 딸기 시설재배 포장의 적정 토양화학성 | 
| pH | 유기물함량 (%) | Av.P2O5 (mg/kg) | Ex.(cmol+/kg) | EC (dS/m) |  
| K | Ca | Mg |  
| 6.0~7.0 | 2.5~3.0 | 350~500 | 0.70~0.80 | 5.0~6.0 | 1.5~2.0 | 2이하 |  
 
 | 
 | 
| ○ 딸기 시설재배시의 표준시비량 (kg/10a) | 
| 종   류 | 밑거름 | 웃거름 | 비  고 |  
완숙퇴비(우분) 
질  소 
인  산 
칼  리 
고토석회 
유기물(짚) | 3톤 
3.5 
4.9 
5.6 
100 
적당량 | - 
9.6 
- 
1.8 
- | 전층시비 
pH 6.0~6.5 |  
 
 | 
 | 
| 2) 이랑만들기 | 
○ 이랑간격 : 이랑간의 폭은 90~120cm. 높은 두둑이 재배상 유리 
○ 포기간격 : 한 이랑에 두줄 심으며, 줄간격은 20~25cm, 포기간격은 18~20cm 
○ 심을 곳에 미리 구덩이를 파두고, 흙이 마를 경우 하루 전에 관수하여 둠 | 
 | 
| 3) 아주심기 | 
○ 묘의 준비 : 3~7일 전에 미리 털어 마르지 않게 냉장(3~10℃) 보관 
○ 모종삽이나 호미 등을 이용하여 제 깊이로 심는다. 
○ 심고난 후 충분히 물을 주어 활착을 도모 
○ 포기 근처의 물이 살짝 마르면 이랑을 고르고, 관수호스를 설치 
○ 차광 : 더울 때 심는 경우 차광(25~55%)하고, 5~7일후 벗김 | 
 | 
| 3. 본포관리 | 
| 1) 초세관리 | 
○ 잎따주기 : 늙고 병든 잎은 수시로 제거 
○ 곁눈제거 : 원줄기 이외에 발생하는 곁눈은 모두 제거 
○ 꽃솎기 : 정화방은 7~9개, 다음 화방들은 5~7개만 남기고 후미의 꽃 제거 
○ 지베렐린 처리 : 출뢰기에 지베렐린 5~10ppm 처리 | 
 | 
| 2) 멀칭 및 보온 | 
○ 촉성 및 초촉성작형은 10월 중하순경 멀칭과 보온을 개시 
○ 반촉성작형은 휴면타파 직후 멀칭과 보온개시 
○ 멀칭 : 흑색 혹은 녹색PE필름 이용, 전면 멀칭 
○ 보온 : 외기온이 10℃ 이하로 떨어지면 반드시 보온 | 
 | 
| 3) 생육단계별 온도관리 | 
| ○ 주요 작형의 온도관리 방법 | 
| 작형 | 생육단계 | 낮기온(℃) | 최저기온(℃) | 비   고 |  
촉성 
(초촉성) | 생육촉진기 
출 뢰 기 
개 화 기 
과실비대기 
수 확 기 | 25 
25~28 
25 
25 
20~25 | 12 
10 
10 
6~8 
5~6 | 10~11월은 액화방 분화기이므로 낮온도는 
30℃가 넘지 않게, 밤온도는 13℃가 넘지 
않게 관리 |  
| 반촉성 | 보온개시전 
보온개시기~출뢰기 
출뢰기~개화기 
개화기~과실비대기 
과실비대기~수확기 
수확기 이후 | - 
35~45 
30 
25~28 
25 
23~25 | - 
12 
10 
8~10 
6~8 
5~6 | - 노지상태로 관리 
- 10~15일간 고온처리 |  
 
 | 
 | 
 
댓글 없음:
댓글 쓰기